맨위로가기

1932년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프랑스 총선은 프랑스 제3공화국 하에서 치러진 선거로, 하원 의원을 선출했다. 공화급진사회당이 160석,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가 132석을 얻어 중도 좌파 및 사회주의 정당이 약진했다. 득표율은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가 20.51%로 가장 높았고, 공화급진사회당이 19.18%를 기록했다. 대공황의 영향으로 사회 개혁과 복지 확대를 요구하는 유권자들의 목소리가 커진 것이 주요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프랑스 - 1932년 동계 올림픽 프랑스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프랑스 선수단은 컬링에서 쥘 랑베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도 출전하여 봅슬레이 4인승 6위,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12위와 13위, 페어 스케이팅 8위 등을 기록했다.
  • 1932년 선거 - 제1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제1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32년 이누카이 쓰요시 내각이 만주사변 처리를 명분으로 중의원을 해산하고 실시한 선거로, 입헌정우회가 압승을 거두었으나 혈맹단 사건으로 정당 정치에 암운이 드리워지고 군부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선거구제 하에서 만 25세 이상 남성에게만 투표권이 있었다.
  • 1932년 선거 - 193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대공황 시대에 치러진 193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압승하여 상원 다수당을 차지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에 대한 기대감 속에 민주당은 장기 집권의 발판과 뉴딜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
  • 프랑스의 선거 - 2012년 프랑스 총선
    2012년 프랑스 총선은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 당선 후 치러진 국민의회 의원 선거로, 사회당을 비롯한 좌파 정당들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고, 여성 의원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으나 투표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 프랑스의 선거 - 200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200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4월 22일 1차 투표와 5월 6일 2차 투표로 진행되어 니콜라 사르코지가 당선되었으며, 실업, 유럽 연합, 이민 문제 등이 쟁점이었다.
1932년 프랑스 총선
선거 개요
선거 이름1932년 프랑스 총선
국가프랑스 제3공화국
선거 유형총선
이전 선거1928년 프랑스 총선
이전 선거 연도1928년
다음 선거1936년 프랑스 총선
다음 선거 연도1936년
선거일1932년 5월 1일 및 8일
선출 의석수하원의 전체 607석
등록 유권자11,740,893명
투표율9,576,422표 (81.6%)
하원 구성
하원 구성
주요 정당 및 지도자
지도자에두아르 에리오
지도자 지역구
정당PRRRS
연합좌파 연합
색상DA7B8B
의석수320
의석수 변동33
득표수4,394,963
득표율45.89%
변동폭7.82%
지도자앙드레 타르디외
지도자 지역구테리투아르 드 벨포르
정당AD
연합우익 연합
색상ADC1FD
의석수268
의석수 변동새로운 정당
득표수4,380,717
득표율45.7%
지도자모리스 토레즈
지도자 지역구
정당프랑스 공산당
의석수10
의석수 변동1
득표수796,630
득표율8.32%
변동폭2.94%
선거 전후
직위총리
선거 전 총리앙드레 타르디외
선거 전 소속 정당민주 연맹
선거 후 총리에두아르 에리오
선거 후 소속 정당급진사회당
득표율 정보 (선거 도표 기반)
PRRRS (급진당) 득표율19.18% (이전 17.77%)
SFIO (프랑스 사회당) 득표율20.51% (이전 18.05%)
FR (공화국 연맹) 득표율12.88% (이전 21.99%)
ARD (민주 공화 연맹) 득표율13.57% (이전 23.19%)
PRS (사회 공화당) 득표율5.38% (이전 4.56%)
PDP (민주 인민당) 득표율3.36%
PCF (프랑스 공산당) 득표율8.32% (이전 11.26%)

2. 프랑스의 선거 제도

프랑스는 대통령제의원내각제가 혼합된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가 정책 결정과 대표자 선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선거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 대통령 선거
  • 총선 (국민의회 의원 선거)
  • 레지옹 선거 (광역 지방 선거)
  • 캉통 선거 (기초 지방 선거)
  • 뮈니시팔 선거 (기초자치단체 선거)
  • 유럽의회 선거
  • 국민투표

2. 1. 총선 (하원)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의석수
공화급진사회당160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32
공화연방59
급진 좌파47
민주공화당40
공화사회당+프랑스사회당28
대중민주16
공산당10
프롤레타리아연합당9
기타112
합계607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964,38420.51%
공화급진사회당1,836,99119.18%
민주연합1,299,93613.57%
공화연방1,233,36012.88%
프랑스 공산당796,6308.32%
공화사회당515,1765.38%
대중민주309,3363.36%


3. 주요 정당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의석수
공화급진사회당160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32
공화연방59
급진 좌파47
민주공화당40
공화사회당+프랑스사회당28
대중민주16
공산당10
프롤레타리아연합당9
기타112
합계607



정당별 득표 현황
정당득표수득표율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964,38420.51%
공화급진사회당1,836,99119.18%
민주연합1,299,93613.57%
공화연방1,233,36012.88%
프랑스 공산당796,6308.32%
공화사회당515,1765.38%
대중민주309,3363.36%


4. 1932년 총선 결과

1932년 총선 결과, 공화급진사회당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를 중심으로 한 좌파 세력이 승리하였다. 반면 공화연방 등 우파 세력은 의석을 잃었다. 총 유권자 11,561,751명 중 투표가 이루어졌으며, 무효표는 75,772표였다.[1][2] https://www.france-politique.fr/elections-legislatives-1932.htm France Politique 선거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세부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정당별 의석수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의석수
공화급진사회당160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32
공화연방59
급진 좌파47
민주공화당40
공화사회당+프랑스사회당28
대중민주16
공산당10
프롤레타리아연합당9
기타112
합계607


4. 2. 정당별 득표율

wikitext

정당득표수득표율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964,38420.51%
공화급진사회당1,836,99119.18%
민주연합1,299,93613.57%
공화연방1,233,36012.88%
프랑스 공산당796,6308.32%
공화사회당515,1765.38%
대중민주309,3363.36%


4. 3. 분석

1932년 총선에서는 공화급진사회당과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SFIO) 등 중도 좌파 및 사회주의 성향의 정당들이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사회 개혁과 복지 확대를 요구하는 유권자들의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공화급진사회당은 160석,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는 132석을 확보하며 각각 원내 1, 2당의 지위를 차지했다. 득표율에서도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가 20.51%, 공화급진사회당이 19.18%를 기록하며 높은 지지를 받았다.

반면, 공화연방(59석, 12.88%), 민주공화당(40석), 그리고 득표율 13.57%를 기록한 민주연합 등 보수 우파 정당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기존의 자유주의 경제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사회적 안정과 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경제 위기 속에서 유권자들은 변화를 선택하며 중도 좌파 및 사회주의 정당에 힘을 실어주었다.

5. 역대 선거 결과

프랑스에서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과 대표자 선출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선거가 주기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주요 선거로는 대통령 선거, 총선, 지방 선거, 유럽의회 선거 등이 있으며,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국민투표가 시행되기도 한다.

'''대통령 선거'''

1848, 1965, 1969, 1974, 1981, 1988, 1995, 2002, 2007, 2012, 2017, 2022

'''총선'''

1791, 1792, 1795, 1797, 1798, 1799, 1815, 1816, 1820, 1824, 1827, 1830, 1831, 1834, 1837, 1839, 1842, 1846, 1848, 1849, 1852, 1857, 1863, 1869, 1871, 1876, 1877, 1881, 1885, 1889, 1893, 1898, 1902, 1906, 1910, 1914, 1919, 1924, 1928, 1932, 1936, 1945, 1946.6, 1946.11, 1951, 1956, 1958, 1962, 1967, 1968, 1973, 1978, 1981, 1986, 1988, 1993,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2024

'''레지옹 선거'''

1986, 1992, 1998, 2004, 2010, 2015

'''캉통 선거'''

1961, 1964, 1967, 1970, 1973, 1976, 1979, 1982, 1985, 1988, 1992, 1994, 1998, 2001, 2004, 2008, 2011, 2015

'''뮈니시팔 선거'''

1959, 1965, 1971, 1977, 1983, 1989, 1995, 2001, 2008, 2014

'''유럽의회 선거'''

1979, 1984, 1989, 1994, 1999, 2004, 2009, 2014

'''국민투표'''

1793, 1795, 1800, 1802, 1804, 1815, 1851, 1852, 1870, 1945, 1946.5, 1946.10, 1958, 1961, 1962.4, 1962.10, 1969, 1972, 1988, 1992, 2000, 2005

5. 1. 총선

'''정당별 의석수'''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의석수
공화급진사회당160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32
공화연방59
급진 좌파47
민주공화당40
공화사회당+프랑스 사회당28
대중민주16
공산당10
프롤레타리아 연합당9
기타112
합계607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1,964,38420.51%
공화급진사회당1,836,99119.18%
민주연합1,299,93613.57%
공화연방1,233,36012.88%
프랑스 공산당796,6308.32%
공화사회당515,1765.38%
대중민주309,3363.36%


참조

[1]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82
[2]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